이 실습에서는 Google Cloud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알아봅니다. 두 가지 통합 환경이 있는데 하나는 Google Cloud 콘솔이라고 하는 GUI(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이고, 다른 하나는 Cloud Shell이라고 하는 CLI(명령줄 인터페이스)입니다. 이 실습에서는 두 환경을 모두 사용합니다.
다음은 Cloud 콘솔에 관해 알아야 할 사항입니다.
Cloud 콘솔은 지속적으로 개발 중이므로 그래픽 레이아웃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경은 보통 새로운 Google Cloud 기능이나 기술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이루어지므로 워크플로가 약간 달라집니다.
Cloud 콘솔에서 일반적인 Google Cloud 작업 대부분을 수행할 수 있지만 일부 작업은 수행할 수 없습니다. 특히 최신 기술 또는 일부 상세 API 옵션 및 명령어 옵션이 Cloud 콘솔에서 구현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일부 기능은 향후 구현 예정). 이러한 경우에는 명령줄 또는 API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Google Cloud 콘솔은 일부 작업을 매우 빠르게 수행하며, 많은 CLI 명령어가 필요할 수 있는 여러 작업을 개발자 대신 수행할 수 있습니다. 반복 작업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입력할 양이 많거나 입력 오류가 생기기 쉬운 작업을 클릭 몇 번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Cloud 콘솔은 메뉴를 통해 유효한 옵션만 제공하기 때문에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SDK를 통해 플랫폼 '내부'에 액세스할 수 있는 특성을 활용하여 변경사항을 제출하기 전에 구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명령줄에서는 이러한 동적 확인이 어렵습니다.
목표
이 실습에서는 다음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Google Cloud 액세스
Cloud 콘솔을 사용해 Cloud Storage 버킷 만들기
Cloud Shell을 사용해 Cloud Storage 버킷 만들기
Cloud Shell 기능 익히기
설정 및 요구사항
각 실습에서는 정해진 기간 동안 새 Google Cloud 프로젝트와 리소스 집합이 무료로 제공됩니다.
실습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실습 비용을 결제해야 하는 경우 결제 수단을 선택할 수 있는 팝업이 열립니다.
왼쪽에는 다음과 같은 항목이 포함된 실습 세부정보 패널이 있습니다.
Google Cloud 콘솔 열기 버튼
남은 시간
이 실습에 사용해야 하는 임시 사용자 인증 정보
필요한 경우 실습 진행을 위한 기타 정보
Google Cloud 콘솔 열기를 클릭합니다(Chrome 브라우저를 실행 중인 경우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시크릿 창에서 링크 열기를 선택합니다).
실습에서 리소스가 가동되면 다른 탭이 열리고 로그인 페이지가 표시됩니다.
팁: 두 개의 탭을 각각 별도의 창으로 나란히 정렬하세요.
참고: 계정 선택 대화상자가 표시되면 다른 계정 사용을 클릭합니다.
필요한 경우 아래의 사용자 이름을 복사하여 로그인 대화상자에 붙여넣습니다.
{{{user_0.username | "Username"}}}
실습 세부정보 패널에서도 사용자 이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을 클릭합니다.
아래의 비밀번호를 복사하여 시작하기 대화상자에 붙여넣습니다.
{{{user_0.password | "Password"}}}
실습 세부정보 패널에서도 비밀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을 클릭합니다.
중요: 실습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사용해야 합니다. Google Cloud 계정 사용자 인증 정보를 사용하지 마세요.
참고: 이 실습에 자신의 Google Cloud 계정을 사용하면 추가 요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 표시되는 페이지를 클릭하여 넘깁니다.
이용약관에 동의합니다.
임시 계정이므로 복구 옵션이나 2단계 인증을 추가하지 않습니다.
무료 체험판을 신청하지 않습니다.
잠시 후 Google Cloud 콘솔이 이 탭에서 열립니다.
참고: Google Cloud 제품 및 서비스 목록이 있는 메뉴를 보려면 왼쪽 상단의 탐색 메뉴를 클릭하거나 검색창에 제품 또는 서비스 이름을 입력합니다.
작업 1. Cloud 콘솔을 사용해 버킷 만들기
이 작업에서는 버킷을 만듭니다. 또한 이 텍스트를 살펴보며 이 실습 안내에서 작업을 설명하는 방식에 익숙해지고 Cloud 콘솔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도 배웁니다.
Storage 서비스로 이동하고 버킷 만들기
Google Cloud 콘솔의 탐색 메뉴()에서 Cloud Storage > 버킷을 클릭합니다.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이름에 전역적으로 고유한 버킷 이름을 입력하고 다른 모든 값은 기본값으로 둡니다.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공개 액세스가 차단됨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면 확인을 클릭합니다.
Cloud 콘솔 기능 둘러보기
Google Cloud 메뉴에 알림 아이콘이 있습니다. 때로는 기본 명령어의 피드백이 여기에 표시됩니다. 상황을 알 수 없는 경우 알림에서 추가 정보 및 내역을 확인합니다.
내 진행 상황 확인하기를 클릭하여 목표를 확인합니다.
Cloud 콘솔을 사용해 버킷 만들기
작업 2. Cloud Shell 액세스
이 섹션에서는 Cloud Shell과 기능 일부를 살펴봅니다.
Cloud Shell을 사용하면 Cloud SDK 및 다른 도구를 컴퓨터에 설치하지 않고도 명령줄을 통해 프로젝트와 리소스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Cloud Shell은 다음 기능을 제공합니다.
임시 Compute Engine VM
브라우저를 통해 인스턴스에 명령줄로 액세스
영구 디스크 스토리지 5GB($HOME dir)
사전 설치된 Cloud SDK 및 다른 도구
gcloud: Compute Engine과 여러 Google Cloud 서비스 작업에 사용
gcloud storage: Cloud Storage 작업에 사용
kubectl: Google Kubernetes Engine 및 Kubernetes 작업에 사용
bq: BigQuery 작업에 사용
Java, Go, Python, Node.js, PHP, Ruby 언어 지원
웹 미리보기 기능
리소스 및 인스턴스 액세스를 위한 자체 인증 기능
Google Cloud Cloud Shell 문서에서 Cloud Shell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참고: 1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Cloud Shell 인스턴스는 재활용됩니다. /home 디렉터리만 유지되고 환경 변수를 포함하여 시스템 구성에 대한 변경사항은 세션 종료 시 손실됩니다.
Cloud Shell을 열고 기능 둘러보기
Google Cloud 메뉴에서 Cloud Shell 활성화()를 클릭합니다. 메시지가 표시되면 계속을 클릭합니다.
Cloud Shell이 Cloud 콘솔 창 하단에 열립니다.
Cloud Shell 툴바의 맨 오른쪽에 4개의 버튼이 있습니다.
최소화: 첫 번째 버튼을 누르면 창이 최소화됩니다.
복원/최대화: 다음 버튼을 누르면 최소화된 창이 복원되거나 최대화되어 Cloud Shell을 닫지 않고도 Cloud 콘솔에 완전히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새 창에서 열기: Cloud Shell을 Cloud 콘솔 하단에 두면 개별 명령어를 실행할 때 유용합니다. 하지만 파일을 편집하거나 전체 명령어 출력을 확인하려는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 버튼으로 Cloud Shell을 전체 크기의 새 터미널 창으로 표시합니다.
터미널 닫기: 이 버튼으로 Cloud Shell을 닫습니다. Cloud Shell을 닫을 때마다 가상 머신이 재설정되고 모든 머신 컨텍스트가 손실됩니다.
Cloud Shell을 닫습니다.
작업 3. Cloud Shell을 사용해 Cloud Storage 버킷 만들기
두 번째 버킷을 만들고 Cloud 콘솔에서 확인
Cloud Shell을 다시 엽니다.
gcloud storage 명령어를 사용하여 다른 버킷을 만듭니다. [BUCKET_NAME]을 전역적으로 고유한 이름으로 바꿉니다. 이전에 사용한 전역적으로 고유한 버킷 이름에 2를 추가해도 됩니다.
gcloud storage buckets create gs://[BUCKET_NAME]
메시지가 표시되면 승인을 클릭합니다.
Google Cloud 콘솔의 탐색 메뉴()에서 Cloud Storage > 버킷을 클릭하거나 이미 Storage 브라우저에 있는 경우 새로고침을 클릭합니다.
두 번째 버킷이 버킷 목록에 표시됩니다.
참고: Cloud 콘솔과 Cloud Shell을 사용하여 동일한 작업을 수행했습니다. Cloud 콘솔을 사용하여 버킷 하나를 만들고 Cloud Shell을 사용하여 다른 버킷 하나를 만들었습니다.
내 진행 상황 확인하기를 클릭하여 목표를 확인합니다.
Cloud Shell을 사용해 버킷 만들기
작업 4. Cloud Shell 기능 자세히 알아보기
파일 업로드
Cloud Shell을 엽니다.
Cloud Shell 툴바에서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추가 옵션이 표시됩니다.
업로드를 클릭합니다. 로컬 머신에서 Cloud Shell VM으로 파일을 업로드합니다. 이 파일을 [MY_FILE]이라고 하겠습니다.
Cloud Shell에서 ls를 입력하여 파일이 업로드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실습 전반부에서 만든 버킷 중 하나에 이 파일을 복사합니다. [MY_FILE]을 업로드한 파일 이름으로 바꾸고 [BUCKET_NAME]을 사용자의 버킷 이름 중 하나로 바꿉니다.
gcloud storage cp [MY_FILE] gs://[BUCKET_NAME]
파일 이름에 공백이 있으면 파일 이름을 작은따옴표로 묶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gcloud storage cp ‘my file.txt' gs://[BUCKET_NAME]
참고: Cloud Shell VM으로 파일을 업로드한 다음 버킷에 복사했습니다.
Cloud Shell 툴바에서 다른 아이콘을 클릭하여 Cloud Shell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옵션을 알아봅니다.
Cloud Shell 세션을 모두 닫습니다.
내 진행 상황 확인을 클릭하여 목표를 확인합니다.
Storage 버킷에 파일 업로드
작업 5. Cloud Shell에서 지속적인 상태 만들기
이 섹션에서는 Cloud Shell 사용을 위한 권장사항을 알아봅니다. gcloud 명령어에서 리전, 영역 또는 프로젝트 ID 등의 값을 지정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값을 반복적으로 입력하다 보면 입력 오류가 생기기 쉽습니다. Cloud Shell을 자주 사용하는 경우 실제 값을 입력하는 대신 환경 변수에 공통 값을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 가능한 리전 확인
Google Cloud 콘솔에서 Cloud Shell을 엽니다. 그러면 새 VM이 할당됩니다.
사용 가능한 리전을 나열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gcloud compute regions list
목록에서 리전을 선택하고 텍스트 편집기에 이 값을 기록해 둡니다. 이제 이 실습에서 이 리전을 [YOUR_REGION]이라고 하겠습니다.
환경 변수 만들기 및 확인
환경 변수를 만들고 [YOUR_REGION]을 이전 단계에서 선택한 리전으로 바꿉니다.
INFRACLASS_REGION=[YOUR_REGION]
echo를 사용하여 값을 확인합니다.
echo $INFRACLASS_REGION
gcloud 명령어에서 이러한 환경 변수를 사용하면 오타를 입력할 가능성을 줄이고 세부 정보를 많이 기억하지 않아도 됩니다.
참고: Cloud Shell을 닫고 다시 열 때마다 새 VM이 할당되며, 설정했던 환경 변수가 사라집니다. 다음 단계에서는 Cloud Shell을 재설정할 때마다 명령어를 입력할 필요가 없도록 환경 변수 값을 설정하는 파일을 만듭니다.
source 명령어를 사용하여 환경 변수를 설정하고 echo 명령어를 사용하여 프로젝트 변수가 설정되었는지 확인합니다.
source infraclass/config
echo $INFRACLASS_PROJECT_ID
참고: 이렇게 하면 환경 변수를 만든 후 Cloud Shell을 재활용하거나 재설정하는 경우에 쉽게 다시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Cloud Shell을 열 때마다 source 명령어를 실행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다음 단계에서는 .profile 파일을 수정하여 Cloud Shell에 대한 터미널을 열 때마다 자동으로 source 명령어가 실행되도록 합니다.
Cloud Shell을 닫았다가 다시 엽니다. 그런 다음 echo 명령어를 다시 실행합니다.
echo $INFRACLASS_PROJECT_ID
환경 변수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므로 출력이 없습니다.
Bash 프로필 수정 및 지속성 만들기
다음 명령어로 셸 프로필을 수정합니다.
nano .profile
파일 끝에 다음 행을 추가합니다.
source infraclass/config
Ctrl+O와 ENTER 키를 눌러 파일을 저장한 다음 Ctrl+X를 눌러 nano 편집기를 종료합니다.
Cloud Shell을 닫은 후 다시 열어 VM을 재설정합니다.
echo 명령어를 사용하여 변수가 여전히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echo $INFRACLASS_PROJECT_ID
이제 config 파일에 설정한 예상 값이 표시됩니다.
참고: Cloud Shell 환경이 손상된 경우 Cloud Shell 사용 중지 또는 재설정이라는 제목의 Cloud Shell 문서의 안내를 따라 재설정할 수 있습니다.
재설정을 수행하면 Cloud Shell 환경의 모든 항목이 원래의 기본 상태로 돌아갑니다.
작업 6. Google Cloud 인터페이스 검토
Cloud Shell은 gcloud 및 gcloud storage와 같은 Google Cloud SDK 명령어를 사용해 Google Cloud를 탐색할 수 있는 우수한 대화형 환경입니다.
Google Cloud SDK를 컴퓨터 또는 Google Cloud의 VM 인스턴스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bash(Linux) 또는 Powershell(Windows)과 같은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하여 gcloud 및 gcloud storage 명령어를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Cloud Shell의 명령줄 도구를 사용하여 둘러본 다음, 지원되는 언어 중 하나를 사용하여 SDK에서 구현하기 위한 가이드로 매개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Google Cloud 인터페이스는 Cloud 콘솔과 Cloud Shell이라는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콘솔의 특징:
작업을 수행하는 빠른 방법 제공
옵션을 제시하기 때문에 옵션에 대해 배우지 않아도 됨
명령어를 입력하기 전에 백그라운드에서 검증 수행
Cloud Shell이 제공하는 기능:
세부 제어
광범위한 옵션 및 기능
스크립팅을 통한 자동화 가능
실습 종료하기
실습을 완료하면 실습 종료를 클릭합니다. Google Cloud Skills Boost에서 사용된 리소스를 자동으로 삭제하고 계정을 지웁니다.
실습 경험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해당하는 별표 수를 선택하고 의견을 입력한 후 제출을 클릭합니다.
별점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별표 1개 = 매우 불만족
별표 2개 = 불만족
별표 3개 = 중간
별표 4개 = 만족
별표 5개 = 매우 만족
의견을 제공하고 싶지 않다면 대화상자를 닫으면 됩니다.
의견이나 제안 또는 수정할 사항이 있다면 지원 탭을 사용하세요.
Copyright 2020 Google LLC All rights reserved. Google 및 Google 로고는 Google LLC의 상표입니다. 기타 모든 회사명 및 제품명은 해당 업체의 상표일 수 있습니다.